Whatever will be, Will be

What will I be. Will I be rich?, will I be..?

Be, will be

주제 테마

HomeHero, 노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vestige2022 2022. 5. 19. 18:01
728x90
반응형

1. 사회가 해결해야 할 노인 문제

여러분은 노인에 기준을 알고 있나요? 국가마다 차이는 있지만 우리나라는 65세를 기준으로 그 이상일 때를 노인이라고 합니다. 지금이 100세 시대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너무 이른 나이에 노인이라는 호칭을 들어야 하는데요. 우리나라가 산업화 과정을 거쳐 선진국 반열에 들어서면서 평균수명이 늘어난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겠죠. 사회적으로 70세로 올리자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는데 아무튼 개선에 여지는 있어 보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에 평균수명은 어떻게 될까요? 통계자료에서 보면 2020년 기준으로 83.5세로 2010년과 비교해서 3.3세가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보면 고무적인데 다른 한편으로는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어 결코 달갑지만은 않습니다. 여하튼 평균수명이 늘면서 노인인구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8년에 벌써 고령사회로 진입했고, 이제 노인이 전체 인구 대비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있는데요. 2021년 기준으로 노인인구가 885만 명에 이르고 있고, 일부 언론에서도 2025년부터 초고령사회가 된다는 사설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미 2006년부터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불거지고 있는데요. 좀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지금에서라도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 사회적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와 해결할 과제들을 하나하나 풀어나가야 할 때라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정책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으로 노인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노인을 돌보기 위해 요양보호사가 생겼고, 이를 양성하는 교육원이 생겨났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는데요. 중요한 것은 사회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것이겠죠.

2. HomeHero 소개

오늘 소개할 HomeHero라는 업체가 바로 노인문제에 집중하였습니다. 노인문제를 사회가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사회문제로 인식해 요양보호사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과 그 가족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주고자 노력하는데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출처: homehero 홈페이지

 

창업자 카일 힐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할머니에게서 영감을 얻어 업체를 설립하게 되었는데 동기는 단순했습니다.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할머니를 돌봐줄 요양보호사 찾기가 쉽지 않았고, 그나마 약속한 요양보호사도 시간을 맞춰 방문하거나 할머니와 같이 있어야 할 시간을 지키지 않아 방치하는 사례가 빈번했는데요. 이 처럼 노인을 잘 돌봐줄 적합한 요양보호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카일 힐은 2013년에 HomeHero를 설립했고요. 얼마 되지 않아 미국 캘리포니아를 대표하는 가정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성장했습니다. HomeHero는 어떻게 단기간에 성공을 이루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요양보호사 채용 방법과 관리 체계에 답이 있는데요. 먼저 요양보호사 채용 시에는 면접은 기본이고, 범죄 기록과 자격증 진위 여부 등을 확인하는 절차가 포함됩니다. 노인을 요양보호사에게 맡기는 가족 입장에서는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판단이 필요한데요. HomeHero는 채용 과정에서 전과자를 선별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맡길 수 있겠죠.

 

출처: homehero 홈페이지

 

두 번째, 요양보호사 채용 후에 HomeHero 업체에서는 직접 요양보호사의 스케줄을 확인하여 시간을 지킬 수 있도록 관리하며 근무일지를 가족들에게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족들은 근무일지에 적혀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노인에게 병원 진료를 받게 하거나 약을 복용하게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겠죠. 

 

우리나라도 지금은 많은 요양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고, 노인 눈높이에 맞춰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문적으로 요양보호사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업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요.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해야 가족과 같이 노인을 보살펴줄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 산물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나중에 우리도 노인이 되었을 때 똑같이 양질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겠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