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정한 차량 공유 서비스란 무엇인가?
서울에서는 교통카드 하나로 버스와 지하철을 타거나, 환승하는데 불편함이 없습니다. 누가 생각해낸 것인지 몰라도 놀라운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교통시스템은 해외에서 온 여행객이 우리나라에 와서 놀라는 것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부분입니다. 대부분에 나라가 현재와 미래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나가고 있는 분야가 있는데 무엇인지 아십니까? 바로 차량 공유 서비스입니다. 이 분야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탄소 배출량 때문입니다. 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미래세대가 살고, 지구가 살아나기 때문입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차량을 줄이고, 대중교통수단을 효율적으로 시스템화하여 사용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차량 공유 서비스는 걸음마 단계로 여러 교통수단을 연결하여 차량을 줄이는 대신에 한 가지 수단에 한해 한정적으로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마디로 절름발이 차량 공유 서비스가 각 나라마다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런 사업 주체가 소규모 운송업체에 한정되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적어도 정부차원에서 나서야 해결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용하는 개인 자동차와 택시, 버스나 전철 등 대중교통수단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이와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를 사업화한 곳이 하나도 없을까요? 아닙니다. 있습니다. 바로 핀란드에 'MaaS Global' 업체가 그곳입니다.
2. Whim앱은 무엇인가?
MaaS Global은 교통 공유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2016년 핀란드 헬싱키시와 협력하여 교통수단 공유를 위한 'Whim'앱을 출시했습니다. 이 앱은 놀랄만한 것이 개인 자동차뿐 만 아니라 택시, 버스, 전철 등의 모든 교통수단을 연결하여 공유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Whim앱은 교통수단을 통합하여 개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아도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개인 자동차가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와 같은 발상 자체가 창의적이고 획기적이며, 미래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교통수단을 연결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3. Whim앱은 어떻게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했나?
개인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이겠습니까? 아마도 많은 이유 중에 하나가 기다리는 것이 싫어서 이겠고, 또 하나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 여러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시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개인 자동차가 필요 없으려면 중요한 것은 기다리는 시간이 짧아야 하며, 여러 교통수단을 갈아탈 때 대기 시간이 없으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목적지로 향할 때 대기시간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개인 자동차는 사라질 것입니다.
그러면 Whim앱은 이와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요? Whim앱은 먼저 모든 교통수단을 통합하고 연계시켜 목적지에 도착하는 가장 빠른 최적에 경로를 제공하도록 했습니다. 여기에는 헬싱키시가 큰 몫을 담당하게 되는데 헬싱키시에 모든 교통수단과 Whim앱이 연동되어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따라서 Whim앱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최적에 여러 경로가 제시되고, 이용자가 원하는 경로를 선택하면 교통수단과 연계되어 대기시간 없게 이용할 수 있게 준비됩니다. 준비된다는 의미는 버스를 타고 경유지에서 내리면 바로 택시가 대기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더 놀라운 점은 경유지에서 갈아탄 택시에서 목적지를 운전사에게 말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택시에는 이미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교통체증이나 기상 등이 그것인데 Whim앱은 똑똑하게 최적의 교통수단을 이용자에게 제시합니다.
두 번째는 간편한 결제시스템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Whim앱은 월정액제로 한번 결제로 월간 사용할 모든 교통요금을 해결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매번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이와 같은 요금제가 가능한 것은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바로 헬싱키시가 주도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입니다. 헬싱키시가 판단하기로 Whim앱 서비스가 교통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탄소배출량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도 헬싱키시는 실시간에 교통 상황이나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택시나 민간버스, 렌터카 사업자 등을 독려하여 Whim앱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4. 차량 공유 서비스를 위해 앞으로 해야 할 것은?
우리가 앞으로 구상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는 어떤 모습입니까? 아마도 Whim앱 서비스가 그 모습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어떻습니까? 앞으로 미래의 교통은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제공됨으로써 교통과 안전문제를 해결하고 더불어 탄소배출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나 주요 도시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교통시스템을 정비하고 관련 앱을 개발하도록 사업화해야 하며, 이후에는 민간업자를 독려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미래에 교통의 모습을 핀란드에 Whim앱에서 보았습니다.
'주제 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스(Stance) 성공한 3가지 비결, 명품 양말 브랜드를 찾는다면... (5) | 2022.03.22 |
---|---|
라덴(Raden) 캐리어, 다른 것과 비교 불가한 스마트 하고 고급스러움 (7) | 2022.03.17 |
ThredUp, 세계 최고 중고거래업체인 이유와 그 진정한 가치 (2) | 2022.03.11 |
스냅챕(Snapchat), SNS에서 내 사생활을 보호해준다 (3) | 2022.03.10 |
펩시코(PepsiCo), 코카콜라를 어떻게 앞지를 수 있었나 (8) | 2022.03.05 |